
Q : 담보대출받은 부분을 포함해서 자녀에게 증여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부담부증여란 무엇인가요? 증여를 받는 사람에게 일정한 급부를 할 의무를 부담하게 하는 증여를 의미합니다. 대출채무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 수증자에게 이전 통상 부동산의 증여시 부담하게 되는 부분으로는 담보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부동산을 담보로 한 채무(대출금 등)의 인수, 임차인이 존재하는 경우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증여세 및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되나요? 수증자는 실제로 증여받은 가액에서 대출금을 차감한 금액에 대해서 증여세를 내면 되며, 증여자는 채무를 이전하는 효과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예시 예를 들어 시가 9억원, 전세보증금이 5억원이라고 가정할 때 보증금을 함께 증여하면(부담부증여..

Q : 세금 문제 때문에 자녀에게(남편에게) 증여를 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증여란? 재산의 무상 이전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상속인이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받는 경우를 “상속” 이라 하고, 생전에 직계존비속 등 친족 또는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받는 경우는 “증여”라 합니다. 증여에 의한 소유권 이전등기시 등기권리자와 등기의무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기의무자: 증여자(증여하는 자) 등기권리자: 수증자(증여받는 자) 소유권 이전등기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60일 이내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체결한 자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정해진 날부터 60일 내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해야 합니다. 다만, 그 계약이 취소·해제되거나 무효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부동산등기 특..

"상속 증여에 관한 법률적 자문"이 필요하신 경우, "무료 상담을 받고 절차"를 진행하실수 있습니다! 상속의 개념 상속이란 사람의 사망으로 인해 재산상의 법률관계가 피상속인으로부터 상속인에게 포괄적으로 승계되는 것을 말합니다. *상속재산 확인방법 : 2016. 2.15. 부터는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통합신청을 하시면 사망자의 금융거래, 토지, 자동차, 국민연금, 국세, 지방세 등 6종의 재산조회가 가능하고 은행별로 예금잔액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 조회 안내 상속에 의한 소유권 이전등기의 종류 상속에 의한 소유권 이전등기는 다음과 같이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 이전등기(「부동산등기법」 제23조제3항)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 ..